이번 포스팅에서는 깃에서 사용되는 기본 용어들인 네임스페이스(namespace), 리포지토리(repository), 포크(fork) 등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깃랩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용어를 정리한 것입니다. 원문은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네임스페이스
네임스페이스(namespace)는 사용자 또는 그룹의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GitLab.com에서 jo
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다면, https://gitlab.com/jo
에서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jo
가 바로 네임스페이스입니다. Jo가 test-group
에 참여하면, https://gitlab.com/test-group
에서 그룹 프로필에 접근할 수 있으며, test-group
이 네임스페이스입니다.
리포지토리
리포지토리(repository)는 컴퓨터의 폴더와 유사한 것입니다. 리모트 리포지토리(remote repository)는 깃랩에 있는 파일을 의미하며, 여러분의 컴퓨터에 복사된 것은 로컬(local)이라 합니다. 깃랩의 각 프로젝트(project)에는 리포지토리가 존재하며, 이곳에 파일이 저장됩니다. 이를 줄여, 'repo'라고 하기도 합니다.
포크
누군가의 리포지토리를 복사한다면, 이는 프로젝트를 포크(fork)하는 것입니다. 포크를 통해 여러분의 네임스페이스에 프로젝트를 복사하고, 파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와 클론의 차이
리모트 리포지토리의 파일을 컴퓨터에 복사하려면, 다운로드 또는 클론(clone)이 필요합니다. 다운로드하면 이를 깃랩 상의 리모트 리포지토리에 동기화할 수 없습니다. 반면, 리포지토리를 클론하면, 해당 파일이 로컬 컴퓨터에 다운로드 되지만 리모트 리포지토리와의 연결을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작업을 마치고 변경 사항을 깃랩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푸시와 풀
작업을 마치고 깃랩에 변경 사항을 업로드하는 것을 푸싱(pushing)라 합니다. git push
명령어를 사용하여 푸쉬할 수 있습니다. 만약, 리모트 리포지터리가 변경될 경우, git pull
명령어를 통해 로컬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풀링(pulling)이라합니다.
이상으로 깃에서 사용되는 기본 용어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깃에서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랩 사용법 (4) 브랜치 및 커밋, 머지 명령어 설명 (0) | 2020.10.15 |
---|---|
깃랩 사용법 (3) 기본 명령어 정리 (0) | 2020.10.15 |
깃랩 사용법 (1) 터미널을 통해 설치하고 시작하기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