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사진 이론과 생각

    사진 잘 찍는 방법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 사진을 많이 찍어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

    사진 잘 찍는 방법이 있을까? 최적의 노출, 조리개, 셔터 스피드, ISO, 구도, 구성, 빛, 질감, 형태 등을 잘 포착해내는 기술적 이론들을 마스터 하면 될까? 사진을 정말로 잘 찍고 싶어하는 이들이라면 대부분 기술적&이론적 지식들은 그래도 초보자 이상으로 알고 있기 마련이다. 문제는 이를 실제 상황에서 계속 테스트해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실험이 있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영화 사진을 가르치는 제리 율스만은 개강 첫날 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눴다. 한 쪽은 '양적 집단'이라 하여, 과제 100장을 제출하면 A, 90장을 제출하면 B, 80장을 제출하면 C를 주겠다고 했다. 반면 다른 집단은 '질적 집단'이라 하여 단 장의 사진의 '질'에 따라 점수를 주기로 했다. 사진 결과..


    사진 역사 (4) 사진은 독자적인 예술일 수 있는가

    사진의 발명은 회화에 큰 타격을 줬다. 화가들이 며칠, 길게는 몇 달에 걸쳐 현실적으로 묘사하려 했던 피사체를 사진은 이제 몇 분이면 찍을 수 있었다. 더 선명하고, 더 디테일하게 말이다. 그래서일까. 1862년, 프랑스의 미술가들은 사진은 '영혼이 없는 기계적 공정'일 뿐이라며, 예술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19세기 사진가들은 사진을 회화와 분리시켜 보기 보다는, 사진에 회화의 양식을 차용했다. 다게르의 첫 사진이 보여주듯, 구도를 잡는 다는 건 회화의 전통을 따르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헨리 피치 로빈슨(henry peach robinson)은 네거티브 필름들을 합성한 사진을 만들었는데, 그의 이러한 작업은 하이 아트(high art)를 이끌었다. 하이 아트는 '어떤 방식으로든 아름다움이나 예..


    사진 역사 (3) 사진의 특성에 대한 새로운 탐구

    사진의 발달은 대중들에게는 초상화를 선물했고, 탐험가들에게는 여행 사진을 선물했다. 이후, 사진 유제의 감도가 점차 높아지며 더 적은 시간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됐다. 사진가들은 사진의 시간성과 운동성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사진가는 에드워드 마이브리지(Eadweard Muybridge)다. 그는 동물 운동(Animal Locomotion) 시리즈를 통해 동물이나 사람의 움직임을 기록했다. 사진의 기록성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스냅 사진들은 특정 장면을 기억할 수 있도록 했고, 보도 사진은 사건을 기록해 독자들에게 보여줬다. 루이스 하인은 바로 잡아야 하는 것들, 가치를 인정 받아야 하는 것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거리 사진으로 잘 알려진 으젠느 앗제(Eugene Atget)는 파리를 담았다.그는..


    사진 역사 (2) 사진의 발달: 칼로타입 - 콜로디온 습판 - 코닥 - 코다크롬

    칼로타입 영국의 윌리엄 헨리 탈보트(William Henry Tallbot)는 종이 위에 이미지를 만든다. 1840년, 감광유제가 입혀진 종이에 잠상이 형성될 정도로 노출을 한 다음 현상을 했다. 그는 감광재료인 요드화은을 갈로 질산은으로 처리했고, 아름답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Kalos와 인상이라는 의미의 Typos를 따, 칼로타입(Calotype)이라 했다. 이렇게 해서 사진의 복제성의 가치가 조명되었다. 콜로디온 습판 이후 등장한 콜로디온 습판 방식(Collodion Wet-Plate Process)는 다게레오타입의 장점인 선명도와 칼로타입의 장점인 복제성을 모두 갖고 있었다. 다만, 클로디온 습판 처리 방식은 유제가 마르기 전에 코팅과 노출, 현상을 끝내야 했다. 콜로디언과 요드화 칼륨을 섞어서 유..


    사진 역사 (1) 사진의 발명: 카메라 옵스큐라 ~ 다게레오타입

    작은 구멍을 통과한 빛이 상을 맺는다는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는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발견된 것으로 전해진다. 카메라 옵스큐라란 어두운 방(dark chamber)을 뜻하는데,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려 했던 르네상스 시절, 화가들은 핀홀에 렌즈를 만들어 넣었고, 이를 도화지 위에 투사 해 이미지를 따라 그리곤 했다. 사진의 첫 역사는 프랑스의 발명가 조셉 니세포 니엡스(Joseph Nicephore Niepce)를 통해서 였다. 그는 일종의 역청인 비투멘(bitumen of Judea)를 라벤더 오일에 용해 시켜 이를 백랍(pewter)판에 발랐다. 그리고 이 판을 카메라 옵스큐라에 넣어 창문에 놓고 정원을 향해 여덟 시간 동안 노출시켜 다음과 같은 사진을 만들었다. 니엡스의 이..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 이미지와 언어 그리고 통치

    1 이미지란 무엇일까? 존 버거는 이미지를 '재창조되거나 재생산된 시각'이라 정의한다. 이미지는 특정 주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시각이다. 중요한 것은 재창조나 재생산이라는 예술 혹은 답습의 구분이 아니라 그렇게 하여 탄생한 '특정한 시각'이다. 그것은 이미지 속에서, 하나의 보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우리는 이미지를 보고 그것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등의 반응으로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기 보다, 그것이 이미 제시된 시각으로 특정 이미지를 바라보게 하는 틀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며, 전달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의도되는 것으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하다. 2 이미지가 글을 만났을 때 이러한 '의도'는 더욱 효과를 얻는다. '바라보기는 글을 통해 특정한 방식으로 인도'된다. 누구나 한번쯤 전시장에서 어떤 의도일까 하며..


    어떤 마음으로 사진을 찍을 것인가

    사진은 피사체를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것이 아니다. 사진은 일종의 해석이며, 의미부여다. 사진은 사진가와 피사체 간의 상호작용이다. 특별히 캔디드 사진은 사진가의 자세에 많은 부분이 좌우된다 할 수 있다. 어떤 마음으로 사진을 찍을 것인가? 사진을 찍는다는 건 공간과 시간으로부터 대상을 단절시키는 걸 의미한다. 그러한 권리가 사진가에게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대상을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분리시킬 것인가? 그래서, 무엇을 말하려 하는가? 사진은 때로 대상의 삶의 윤리와 대상을 둘러싼 이해 관계와 충돌한다. 그것은 글의 윤리와는 또 다른 것이어서, 글에서는 어느 정도 비껴갈 수 있는 충돌이 사진 앞에서는 필연적인 경우도 있다. 단순한 피사체로 치부되기 쉬운 카메라 앞의 대상은 아무렇게나 해석될 수 없는, 시..


    영화 <이창>을 보고서: 시선과 권력에 대한 생각

    히치콕의 영화 의 주인공 제프는 다리에 깁스를 한 채 방 안에서 이웃들의 사생활을 훔쳐본다. 맞은 편 건물에는 발레리나, 과부인듯한 중년의 여인, 감성적인 작곡가, 테라스에서 잠을 청하곤 하는 노부부와 아픈 아내와 함께 사는 쏜월드가 있다. 비 오는 어느 날, 제프는 쏜월드의 집에서 살인 현장으로 의심될 만한 장면을 목격한다. 제프는 사진 기자로 일했던 경력을 살려, 쌍안경과 카메라까지 동원해 가며 쏜월드를 감시한다. 제프와 그의 애인 리사, 간병인 스텔라까지 가세 해 쏜월드를 훔쳐 보는 동안 쏜월드의 살인 혐의는 점점 짙어져 간다. 제프는 경찰인 친구에게 수사를 의뢰하지만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급기야 리사는 쏜월드에 집에 무단 침입을 시도한다. 하지만 리사는 쏜월드에게 발각되고, 쏜월드는..